ModuDa

서울에서 집 찾기 - SH청년역세권주택은 한 달에 얼마를 낼까?(1) 본문

서울에서 집주인이 되어 봅시다.

서울에서 집 찾기 - SH청년역세권주택은 한 달에 얼마를 낼까?(1)

DaaKIM 2023. 5. 4. 21:57

mododa가 제작한 역세권청년주택 로고

 청년역세권주택이 싸다고, 돈이 얼마 안 든다고 여러분은 들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정확히 한 달에 얼마를 내는지 아시나요? 저도 이 정책을 신청하면서 그것이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한 달에 얼마가 들지 제가 계산해 보겠습니다. 

 

내가 꿈꾸던 주택

제가 가고 싶었던 역세권 청년 주택을 예로 들어서 계산해 보겠습니다. 삼각지 역에 위치한 '용산베르디움프렌즈'입니다. 이곳은 39.81 m2(= 17평)의 전용 면적의 집을 이번 공고에서 모집하고 있었습니다. 용산역고 매우 가깝고 지하철도 근처에 2개나 있은 이런 곳이 청년 역세권 주택에 나왔다는 사실 자체가 충격이었습니다. 제 고향이 지방입니다. 매번 기차를 타러 용산역 갈 때마다 이곳에 살면 참 행복하겠다 생각했기 때문에 더욱 가고 싶었습니다. 

 

한 달에 얼마가 들까?

용산베르디움프렌즈 공공임대 조건(출처:SH청약센터)

임대조건

임대료 구분 A는 1순위를 받은 청년들의 임대조건입니다. 시중시세 30%에 살 수 있는 조건입니다. 임대보증금 약 오천백만 원에 월임대료 175,000원을 납부하면 됩니다.

2순위는 임대료구분 B에 해당합니다. 시세의 50%의 가격에 청년역세권주택에 살 수 있습니다. 임대보증금 약 팔천오백만 원에 월 임대료 291,000원의 임대 조건을 가집니다. 

생각보다 비싸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위치가 서울의 중심이라는 것을 따져보면 임대조건이 매우 합리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오해하실 수도 있는데, 서울 전 지역의 역세권 주택의 가격이 이 정도인 것은 아닙니다. 강남에 있는 청년역세권주택에 이어 용산의 가격이 2번째로 비쌉니다. 용산이나 강남외의 다른 지역의 임대 조건은 이와 많이 다르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최대 보증금 전환

2022년 역세권청년주택 임대보증금전환조건 (출처:SH청약센터)

위의 표처럼 월임대료와 임대보증금의 전환 제도가 있습니다. 임대보증금을 최대로 올려서 월임대료를 줄여야 달에 드는 비용이 감소할 것입니다. '용산베르디움프렌즈'를 사는 1순위 청년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면, 기존임대료인 175,000원의 약 50%인 87,500원까지 추가로 납부해 월 임대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추가로 내야 할 월 임대료를 얼마일까요?

백만 원 당 감소하는 월임대료: 1,000,000 × 6% ÷ 12 = 5,000

100만 원 단위로 전환 가능하다는 것은 5000원 단위로 월 임대료를 깎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87,500(최대로 전환 가능한 월 임대료)를 5000원(100만 원 단위 감소 월 임대료)으로 나누면 임대료를 얼마나 추가로 내야 할지 계산이 됩니다.

최대 증액 할 수 있는 임대료: 87,500 ÷ 5,000 = 17.5

소수점 이하 자리는 버리고 17에 100만 원을 곱해 총 1700만 원의 임대보증금을 추가로 납부하면, 최소 월 임대료를 내고 청년역세권주택에서 거주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즉, 최대 1700만 원을 추가로 납부해서 총 임대료 68,408,000원에 월 임대료 87,500원을 내고 '용산베르디움프렌즈'에서 살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곳의 관리비는 얼마일까요?

관리비

'용산베르디움프렌즈'의 관리비에 대한 인터넷 후기를 찾아봤습니다. 대략 39 m2에서 10만 원에서 15만 원 정도 관리비가 나오는 듯합니다. 관리비는 가스비 제외한 수도, 전기, 인터넷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략 15만 원의 관리비에 추가로 가스비가 이곳에 산다면 나올 것입니다.

그렇다면 6800만 원의 보증금은 어떻게 구할까요? 이만큼의 현금을 가진 사람들은 많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보증금을 구할지에 대해서 다음 포스팅에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